2025년 정부지원금, 이 금액 이하라면 바로 신청하세요!
본문 바로가기
알면 좋은 라이프

2025년 정부지원금, 이 금액 이하라면 바로 신청하세요!

by 하리공간 2025. 3. 21.
반응형

 

나도 받을 수 있을까? 금액 기준으로 쉽게 알아보기!

2025년, 정부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을 위해 다양한 지원금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하지만 “내가 받을 수 있는지”, “어디서 신청해야 하는지” 막막하시죠?
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정확한 금액 기준을 바탕으로,
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정부 지원금 종류와 신청 조건을 정리했습니다.

1. 기초생활보장제도

생활이 어려운 가구를 대상으로 생계, 의료, 주거, 교육 등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​

① 생계급여

  • 지원 대상: 소득과 재산이 적은 가구​
  • 신청 조건: 4인 가구 기준 월 소득 1,951,287원 이하​
  • 지원 금액: 가구원 수에 따라 매달 차등 지급​
  •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
  • 제출 서류: 신청서, 소득·재산 증빙, 금융정보 동의서 등​

 

② 의료급여

  • 지원 대상: 4인 가구 기준 월 소득 2,439,109원 이하인 가구​
  • 지원 내용: 병원비 일부 또는 전액 지원​
  •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

③ 주거급여

  • 지원 대상: 4인 가구 기준 월 소득 2,926,931원 이하인 가구​
  • 지원 내용: 전세·월세 거주자에게 월세 지원, 자가 가구에는 수리비 지원​
  •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

④ 교육급여

  • 지원 대상: 4인 가구 기준 월 소득 3,048,887원 이하인 가구​
  • 지원 내용: 학용품비, 교복비 등 학생 1인당 연 30만 원 이상 지원​
  •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

2. 근로·자녀 장려금

저소득 근로자와 자녀 양육 가구를 위한 제도입니다.​

① 근로장려금

  • 지원 대상: 연 소득이 일정 금액 이하인 근로자/사업자​
  • 신청 조건:
    • 단독 가구: 연 2,200만 원 이하​
    • 홑벌이 가구: 연 3,200만 원 이하​
    • 맞벌이 가구: 연 3,800만 원 이하​
    • 재산: 2억 원 이하​
  • 지원 금액: 최대 350만 원​
  • 신청 방법: 국세청 홈택스
  • 신청 시기: 매년 5월​

 

② 자녀장려금

  • 지원 대상: 만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가구​
  • 지원 금액: 자녀 1인당 최대 70만 원​
  • 신청 방법: 국세청 홈택스
  • 신청 시기: 매년 5월​

3. 청년 지원금

청년의 취업, 주거, 자립을 위한 다양한 제도입니다.​

① 청년내일 채움공제

  • 지원 대상: 만 15~34세 청년, 중소기업 정규직 채용자​
  • 지원 내용: 2년간 근무 시 약 1,600만 원 수령​
  • 신청 방법: 워크넷

② 청년 월세 지원

  • 지원 대상: 만 19~34세 1인 청년​
  • 신청 조건:
    • 월세 60만 원 이하, 보증금 5,000만 원 이하​
    • 부모 포함 가구 월 소득이 3,658,458원 이하​
  • 지원 금액: 월 최대 20만 원씩 12개월간 지원​
  • 신청 방법: 복지로

 

③ 청년 구직촉진수당

  • 지원 대상: 만 18~34세 미취업 청년​
  • 신청 조건: 구직활동 중이며, 기준 중위소득 120% 이하​
  • 지원 금액: 매달 50만 원씩 6개월 지원 (최대 300만 원)​
  • 신청 방법: 워크넷

4. 노인 지원금

① 기초연금

  • 지원 대상: 만 65세 이상​
  • 신청 조건:
    • 단독가구: 월 2,280,000원 이하​
    • 부부가구: 월 3,648,000원 이하​
  • 지원 금액: 월 최대 40만 원

②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

  • 지원 대상: 만 65세 이상 어르신
  • 지원 내용: 다양한 일자리 제공 (공익활동, 사회서비스형 등)
  • 활동비: 월 30만~70만 원 (유형에 따라 다름)
  • 신청 방법: 거주지 읍·면·동 주민센터 또는
    한국노인인력개발원

5. 장애인 지원금

① 장애인연금

  • 대상: 만 18세 이상 중증장애인
  • 소득 기준:
    • 단독가구 월 1,220,000원 이하
    • 부부가구 월 1,952,000원 이하
  • 지원 금액: 월 최대 38만 원
  •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

 

② 장애수당

  • 대상: 만 18세 이상 경증장애인 (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)
  • 지원 금액: 월 4만~6만 원
  •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

③ 장애아동수당

  • 대상: 만 18세 미만 장애아동
  • 소득 기준: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
  • 지원 금액: 월 10만~20만 원
  •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

6. 한부모가족 지원금

  • 지원 대상: 만 18세 미만 자녀를 둔 한부모
  • 소득 기준:
    • 4인 가구 기준 월 3,658,664원 이하 (중위소득 60%)
  • 재산 기준: 2억 원 이하
  • 지원 금액:
    • 자녀 1인당 월 20만 원
    • 청소년 한부모(만 24세 이하): 추가 10만 원
  •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

7. 긴급복지 지원제도

  • 지원 대상: 실직, 중대한 질병, 가정폭력 등 위기상황에 처한 가구
  • 소득 기준:
    • 4인 가구 기준 월 4,573,330원 이하 (중위소득 75%)
  • 재산 기준:
    • 대도시: 2억 4,100만 원 이하
    • 중소도시: 1억 5,200만 원 이하
    • 농어촌: 1억 3,000만 원 이하
    • 금융재산: 500만 원 이하
  • 지원 내용:
    • 생계비 (4인 가구 최대 월 154만 원)
    • 의료비, 주거비, 교육비 등 항목별 지급
  •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방문 후 신청
  • 문의: 보건복지상담센터

마무리 TIP

2025년 정부 지원금은 단순히 ‘가난한 사람들만 받는 혜택’이 아닙니다.
기준 중위소득 이하만 충족하면 받을 수 있는 제도가 많기 때문에
내가 받을 수 있는지 꼭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

한 가지만 해당돼도 신청 가능,
두 가지 이상 중복 신청도 가능하니,
복지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!

 

 

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전년 대비 6.42% 인상되어, 4인 가구 기준으로 월 6,097,773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.

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

가구원 수에 따른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:

2025년 가구원 수별 기준 중위소득
(월 기준)
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(100%)
1인 가구 2,392,013원
2인 가구 3,932,658원
3인 가구 5,025,353원
4인 가구 6,097,773원
5인 가구 7,108,192원
6인 가구 8,064,805원

 

반응형